ACUON CAPITAL ACUON CAPITAL
Acuon Capital
상담 하기
  • 지금 상담
알림
상담 시간
평일 09:00 ~ 18:00입니다.
(점심시간 12:00~13:00)

1. 인터넷사용시 주의 사항

  • 자신의 아이디와 각종 비밀번호등이 제 3자에게 공개되지 않도록 최대한 주의합니다.
  • 특히 공인인증서 등 금융정보는 절대 포털 사이트 메일이나 P2P, 웹하드 등에 보관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 주기적으로 비밀번호를 변경합니다.
  • 같은 번호를 재 사용하지 않으며, 비밀번호가 노출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지체 없이 비밀번호를 변경하시기 바랍니다.
  • 해당 전자금융 거래를 수행한 후 반드시 접속 종료합니다.
  • 컴퓨터 등 전자수단을 타인과 함께 사용하시는 경우 전자금융거래를 자제하시고, 만일 이용하실 경우 거래 후 관련 정보의 삭제를 철저히 합니다. PC방을 비롯한 공공장소에서는 전자금융거래를 가급적 사용하지 않으셔야 합니다.
  • 비정상적인 거래의 발생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계좌잔고 또는 거래내역 등을 확인합니다.
  • 전자금융거래가 통신장애 등으로 중단될 경우, 해당거래의 처리여부를 반드시 확인합니다.

2. 전자금융거래 10계명

금융회사에서 제공하는 보안프로그램을 반드시 설치하여 주십시오.

  • 보안프로그램 자동설치시 임의로 보안프로그램 설치를 중단하거나 설치 된 보안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시키면 안됩니다.

전자금융에 필요한 정보는 수첩, 지갑 등 타인에게 쉽게 노출 될 수 있는 매체에 기록하지 마시고, 타인에게(금융사 직원 포함)알려 주어서는 안됩니다.

  • ID, 패스워드, 계좌 비밀번호, 보안카드 비밀번호 등 주요 금융정보가 타인에게 알려지지 않도록 주의 하세요. 특히, 보안카드 및 공인인증서 등 금융정보는 절대 포털 사이트 메일이나 P2P, 웹 하드등에 보관하지 마시길 바랍니다.

금융계좌, 공인인증서 등 각종 비밀번호는 서로 다르게 설정하신 후 주기적으로 변경하여 주십시오.

  • 주민등록번호, 생일날짜, 전화번호, 차량번호, 연속 숫자 등은 의심받기 쉬우므로 피해주세요.

금융거래 사이트는 주소 창에서 직접 입력하시거나 즐겨찾기를 이용하여 주십시오.

  • 스팸 메일 또는 게시판, 대출 사이트 등에 연결된 페이지에서 개인 정보를 입력하시면 안됩니다.

전자금융거래 이용내역을 본인에게 즉시 알려주는 휴대폰 서비스 등을 적극 이용하십시오.

공인인증서는 USB, 스마트카드 등 이동식 저장장치에 보관하여 주십시오.

  • 공인증서를 PC의 하드 디스크에 저장하기 보다는 별도의 저장장치를 이용하세요.

PC방 등 공용 장소에서는 인터넷 금융거래를 자제하여 주십시오.

  • 바이러스 백신, 스파이웨어 제거 프로그램을 이용하시고 최신 윈도우 보안 패치를 적용하시기 바랍니다.

의심되는 이메일이나 게시판의 글을 열어보지 마시고, 첨부파일은 열람 또는 저장 하시기 전에 백신으로 검사하여 주십시오.

  • 보안프로그램 자동설치 시 임의로 보안프로그램 설치를 중단하시거나 설치 된 보안프로그램의 실행을 중지시키면 안됩니다.

선수금 입금 요구, 상식수준 이상의 대출 조건을 제시하는 경우에는 해당 금융회사에 동 대출 취급 여부를 직접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 신용에 관계없이 즉시 대출등의 광고에 현혹 되시면 안됩니다.

3. 피싱 사이트 주의 안내

피싱(Phishing)이란 ‘개인정보(Private data)를 낚는다(fishing)’ 라는 의미의 합성어로 불특정 다수에게 메일을 발송해 위장된 홈페이지로 접속하도록 한 뒤 인터넷 이용자들의 금융정보 등을 빼내는 사기 수법입니다.

이메일 또는 온라인 게시판에 링크된 금융회사 사이트는 이용하지 마십시요.

  • 이메일 또는 온라인 게시판에 링크된 가짜 홈페이지는 실제 홈페이지와 외형이 비슷하여 진위여부 판별이 어려움. 피싱메일 발송자들은 위장하여 인터넷 이용자에게 이메일을 발송하고 발송된 메일이나 해당 금융회사의 인터넷 뱅킹 홈페이지를 복제한 가짜 홈페이지를 링크시켜 놓고 있음. 메일이나 게시판의 글에 피해자의 관심을 유도하는 거짓 문구를 사용하여 고객들이 즉각 반응, 정보를 입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일반적인 사례임.

전자금융 거래 시에는 평소에 사용하던 즐겨찾기나 검색 사이트를 이용하여 해당 금융기관에 접속하십시오.

  • 미심쩍은 사이트나 게시물에 링크된 금융회사 홈페이지에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말 것.

발송자의 신원 및 연락처, 개인정보 사용 목적을 명시하지 않은 이메일은 다시 한번 확인.

  • 발송자의 신원 및 연락처, 개인정보 수집 및 사용 목적을 명시하지 않은 이메일을 불특정 다수에게 발송.

정상적인 금융회사 홈페이지 여부를 확인하고 사용하십시오.

  • 정상적인 금융회사 도메인 Name은 해당 금융회사 이름(이니셜 또는 특별한 의미어 사용)과 .com 또는 co.kr를 사용하고 있음.
    정상적인 금융회사 홈페이지는 암호 프로그램 설치 바이러스 검색 등을 한 후에 거래 화면이 나타남.

이메일에서 개인 신상정보 및 금융정보 등을 요구하는 해당 금융회사, 경찰 또는 한국정보보호 진흥원에 신고하십시오.

  • 금융회사를 가장한 메일 또는 홈페이지에서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 비밀번호, 신용카드번호 등의 입력을 요구하는 경우 해당 금융회사 또는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인터넷 침해사고대응센터(02-118)에 신고.

바이러스 백신 등 보안프로그램을 설치하시고,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십시오.

  • 대부분의 해킹 프로그램은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에 의하여 탐지 및 삭제되므로 최신 버전의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을 설치.

금융사기 신고센터
금융사기 신고센터
한국정보보호진흥원 사고신고 : (02)188 또는 (02)1336
경찰청 사이버테러대응센터 : (02)3939-112, http://ctrc.go.kr
금융감독원 전자민원창구 : (02)1332, http://minwon.fss.or.kr
검찰청 사고신고 : (02)1301